본문 바로가기

활터에서

줌손과 깍지손의 소통

정말 오랫만에, 모처럼 경기복 입고 활쏘기 시합에 참가했다. 몰입하고 집중해야 하는 시합을 즐길 수 있어 좋았다. 때때로 느끼며 체득한 생각을 정리했다.

줌손과 깍지손의 소통

만개궁체에서 앞손과 뒷손이 절대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발시하면 대부분 통으로 간다. 그것을 실제 체험으로 확인할 수도 하지만 단순한 설명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시위를 떠난 화살은 앞손이 쎄면 줌뒤를 내고 약하면 대개는 앞난다. 반대로 이야기해도 된다. 앞손보다 뒷손이 강하면 줌앞으로 나고 뒷손이 약하고 앞손이 쎄면 줌뒤로 난다. 즉, 좌우 손의 힘이 쎈 방향으로 화살이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앞손과 뒷손의 힘이 같을 경우는 어떠할까? 과녁 겨냥선만 일치한다면 당연히 통으로 간다. 앞손과 뒷손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순간은 단순히 만들어지지 않는다. 활시위를 가득 당긴 만작 상태에서 앞손과 뒷손이 팽팽하게 긴장한 채로 밀고 당기기를 반복한다. 양손의 일정한 양보와 배려의 시기에 놓일 때 완벽한 쌍분의 균형점을 얻을 수 있다. 그러한 시점에서 발시를 하면 화살은 대부분 과녁을 타고 흐른다.

그렇다면 앞손과 뒷손이 균형을 이룬 시점을 궁사는 어떻게 알고 구현할 수 있을까? 아니면 느낌이나 습관대로 활쏘기를 하면 얻을 수 있을까? 둘다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활쏘기는 신체무예이다. 반복적으로 습관화된 동작을 체득하고 몸으로 익힌다면 가능하다. 몸에 익숙한 활쏘기를 얻었다면 과녁을 맞추는 동작도 습관화 되었을 것이다. 부단한 노력의 습사가 시수를 가져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활쏘기가 고도로 숙련된 수준에 이르지 못한 궁사의 경우는 앞손과 뒷손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힘의 균형을 위해 어떻게 이루어야 하는지 알아보자. 기본적으로 활쏘는 과정에서 앞손과 뒷손은 소통해야 하며, 특히 만개궁체에서는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그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깍지손의 힘을 줌손이 느껴야 한다.

시위를 가득 당긴 만작 상태에서 줌손에 아무런 느낌이나 미동조차 확인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앞손의 힘이 쎄거나 시위를 덜 당겨 뒷손이 약한 경우이며, 줌을 잡은 손의 힘이 넘쳐 앞손과 줌이 경직된 상태가 된다. 즉, 이럴 때 줌손은 깍지손의 움직임을 전혀 느낄 수 없는 불통의 모습이며, 깍지손의 힘쓰기에 따라 화살은 앞뒤로 나며 예측하기 어렵다.

줌손과 깍지손의 소통이란 앞손으로 줌을 잡고 있을 때 시위를 당긴 깍지손에서 시위를 거쳐 상하 고자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줌손에 모여 동적 에너지를 느낀다면 그것은 소통이다. 그 시간을 즐기고 소통의 과정을 좀더 다듬어 안정될 때 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국궁신문 http://www.archerynews.net

'활터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에 활을 내다  (0) 2022.06.09
전통활쏘기연구 제2호 저널 출간  (0) 2022.05.20
활쏘기는 앞손이다  (0) 2022.04.28
화살이 지 멋대로 봄을 탄다  (0) 2022.04.20
봄 화살은 직진한다.  (0) 202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