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금

해금, 원산은 소리를 떠 받치는 기둥이다 복판은 울림통의 한면을 막고 울림에 에너지를 담아 생명력있는 소리를 생성하는 역활을 한다. 원산은 그 복판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오직 유현과 중현을 의지한 채로 소리를 지탱하고 있다. ​수업하다 말고 갑자기 원산을 물끄러미 바라보니 마치, 먼산을 보는 듯 하다. 그래서 일까 해금 소리는 늘 먼 곳에서 풍경을 담아 다가온다. 더보기
2014 국악문화학교 발표회 '뽐'-해금 뽐@해금사랑 좌수입죽, 우수활대. 조금은 긴장되고 경직된 모습이다. 2014 국악문화학교 발표회 '뽐'은 그렇게 시작했다. 반장성예가 좌우뒤를 보고는 '시작'이라고 신호를 주었다. 오른 손에 쥐어진 활대가 움직였다. 들어가고 나오기를 반복하니 익숙한 소리가 생성되어 사람들의 마음을 모으기 시작했다. 몰입하다 방심해서 활대의 방향이 몇번 어긋났다. 일탈된 음을 만들고는 당황하지 않은 척하고 다시 활대의 길을 잡고 동료학동들과 같은 이야기를 하듯 길을 함께하려고 집중했다. 그렇게 4곡이나 했다. 타령. 한강수타령. 아리랑. 크리스마스 캐롤이다. 활대를 길게 밀기도 하고 가다가 다시 돌아오기도 하는 게 마치 작은 오솔길을 산책하는 것과 같다. 오고 가며 다른 풍경을 보듯 해금은 다양한 음색을 내며 청중들의 시.. 더보기
하재원 해금 독주 모처럼 해금 공연을 즐겼다. 수룡음과 표정만방지곡을 연주했는데 둘다 좋았다. 수룡음은 생소병주(생황과 단소)에 해금과 장구를 더했는데 음의 조화가 잘 어울렸고, 내내 평온함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표정만방지곡(관악영산회상)은 연음의 분위기가 아주 자연스러웠고, 물 흐르듯 지나갔다. 피리가 앞장서면 대금이 따라하고 해금은 아주 작게 조용히 존재감을 드러내며 청중들의 가슴에 스민다. 서로 다른 모양에서 같지 않은 소리를 내며, 흥겹게 놀다가 감정을 드러낼 즈음이면 장구가 나서 호흡을 가다듬게 하며 하나의 소리로 합쳐지고 청중들도 그 속에서 호흡한다. 길 게 연주한 해금소리가 낮게 낮게 깔리면서 사람들 마음 속 깊게 퍼지니 청중들은 여유로운 열매를 얻듯 편안하다. 소리는 다르되 호흡은 섞여 하나되었다. 더보기
거문고 독주,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을 거문고 독주로 했다. 흥미로운 시도로 본다. 독주라 해서 거문고만 연주한게 아니라 종묘제례악 연주시에 편성되는 악장, 편경, 피리, 해금, 장고, 징, 축, 어, 박, 징이 함께했다. 연주자 1인이 악기를 두세개씩 다루는 일상적이지 않은 면도 있었지만 부산에서 종묘제례악을 느낄 수 있는 시간에 큰 의미를 두었다. 거문고 소리는 편경에 묻혀 감흥을 얻기에는 조금 부족한 듯 했으나 좀더 연구하면 거문고의 존재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거문고 독주이긴 했으나 악장과 피리, 해금의 어울림이 시각, 청각적으로 시선을 모았다. 악장과 피리의 소리에 공간이 지배되는 구조를 고려한다면 다음번에는 거문고를 보이게 할 수 있을 듯 하다. 아쉬움이 있음에도 전체적으로 좋은 시도였다고 본다. 보기드문 공연이라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