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터에서, 활쏘기를 하다가 문득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조선의 궁술을 엮어낸 동운 이중화!
국궁에 입문후 불후의 명작인 '조선의 궁술'을 보면서 가장 궁금해 했던 사람이다. 특히 8월 15일을 전후하여 활쏘기를 할 때면 조선의 궁술과 동운 이중화 선생의 이름 석자가 다가온다. 그리고 조선궁술연구회 성문영 초대회장.
이중화(李重華)
1881(고종 18)∼? 국어학자. 호는 동운(東芸). 서울출신.
흥화학교(興化學校)영어과 졸업 후, 1904년 이 학교 교사를 지낸 뒤 배재학당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9년 《조선어사전》(뒷날 한글학회의 큰사전)편찬집행위원, 1936년 이 사전 전임 집필위원 및 조선어표준말사정위원을 지냈는데, 사전 집필에서 특히 옛 제도어, 음식용어들의 풀이를 맡았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검거되고, 광복 후 국학대학장, 1949년 재단법인 한글학회 대표이사를 지내다가 6·25동란 때 납북되었다.
저서로 《경성기략 京城記略》·《조선의 궁술(弓術)》 등이 있다.
[이중화]
[조선의 궁술]
퇴근길, 활터에 들러 두순을 냈다.
무사내외@디지털 국궁신문
KBS 1TV, 전통 활쏘기를 왜곡하지 마라! (0) | 2004.10.14 |
---|---|
국궁장 풍경 (0) | 2004.08.13 |
국궁, 활터에서 - [96], 과녁은 나보고 활터에 머물라 한다 (0) | 2004.08.06 |
국궁과 양궁의 차이점은? (0) | 2004.07.22 |
국궁, 전통 활쏘기를 배우려면 (0) | 200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