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촌리 심곡재_(聲村里 尋鵠齋)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성촌리 심곡재_(聲村里 尋鵠齋)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45)
    • 소리마을 (69)
    • 활터에서 (137)
    • 일상풍경 (221)
    • 스크랩 (2)
    • 서예(전각) (16)

검색 레이어

성촌리 심곡재_(聲村里 尋鵠齋)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활터에서

  • 화살이 춤을 추다

    2024.07.20 by 武士內外

  • 화살은 곧다

    2024.06.02 by 武士內外

  • 야사 夜射

    2024.05.30 by 武士內外

  • 활쏘기-오늬바람

    2024.05.06 by 武士內外

  • 해은일록

    2024.03.23 by 武士內外

  • 국궁신문 창립 24주년

    2024.03.07 by 武士內外

  • 평양도성병풍 속 활쏘기

    2024.02.15 by 武士內外

  • 동래 관덕정을 찾아서

    2024.01.23 by 武士內外

화살이 춤을 추다

모처럼 해가 쨍쨍거리는 날 사정에 들러 활을 냈다. 우기의 우중충한 날씨에 모처럼 햇살을 본 화살이 시위를 떠나 과녁은 아랑곳하지 않고 햇살을 등짐으로 즐기며 잠자리 놀듯 이리 저리 동선을 그리며 춤을 춘다......어이할 꼬 시수(矢數), 날이 덥다. 찐한 여름이다.

활터에서 2024. 7. 20. 19:02

화살은 곧다

각양각색의 시표만큼이나 궁사의 화살이 과녁을 비켜가는 모양새도 다양하고 이유도 많다. 다가가면 손에 잡힐 듯 하면서 멀리가고 또 멀어지는 묘미가 있어 활쏘기가 이어진다. 아무생각 없이 시위를 놓아야 하는데 오늘은 활터 옆 운동장에서 축제가 있는지 큰 소리의 음악이 계속 들려오고 마음을 흔든다. 집중이 안되는 핑계가 있어 다행이다. 어찌되었건 화살은 쏜대로 간다. 다 내가 보냈다.

활터에서 2024. 6. 2. 15:54

야사 夜射

야사. 夜射. 밤에 활을 쏜다는 것은 민낯을 드러내는 일과 같다. 낮에는 시위를 출발한 화살이 눈에 보이기 때문에 매번 자세도 수정하고 좌표도 교정하지만 밤에는 아무것도 보이질 않아 배우고 익힌 자세 그대로 반복해야 한다. 똑같은 자세로 활쏘기를 하다 보면 무겁에 이른 화살이 모두 한곳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한 분포도를 통해 쏨새가 제대로 익혀졌는지를 본다. 과녁을 상대로 잔 생각없이 단순하게 활시위를 당기는 밤 활쏘기는 늘상 흥미롭다.

활터에서 2024. 5. 30. 08:56

활쏘기-오늬바람

모처럼 활쏘기를 했다. 평소와 달리 오늬 바람이 있어 거리를 맞추지 못한다. 그럼에도 활쏘기는 늘상 즐겁다.

활터에서 2024. 5. 6. 15:03

해은일록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⑰ 해은일록 부산지역의 다양한 활쏘기문화를 생생하게 기록... 조선시대 부산지역의 활쏘기 문화를 기록한 아주 귀중한 책이 있다. 해은일록이다. 1885년부터 1894년 까지 약 10년에 걸쳐 동래부읍성과 수군진영인 좌수영 및 다대진 일원에서 있었던 활쏘기를 구체적으로 일기문으로 남겼다. 이번에는 지난 번 「동래 관덕정 위치」에 이어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 시리즈 열 일곱 번째로 민건호의 「해은일록 海隱日錄」 을 소개한다.(심곡)http://www.archerynews.net/m/view.asp?idx=2355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⑰ 해은일록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⑰ 해은일록 부산지역의 다양한 활쏘기문화를 생생하게 기록... 조선시대 부산지역의 활쏘기 문..

활터에서 2024. 3. 23. 19:03

국궁신문 창립 24주년

1998년 사이버 국궁장을 시작으로 활터문화 소개 문화사랑, 국궁사랑 디지털 국궁신문은 1998년 개설된 홈페이지인 사이버 국궁장 인터넷 운영을 시작으로 2000년 3월 7일 인터넷 전용 매체로 창간되었습니다. 활쏘기에 입문하고 나서 자료 부족에 목말라 활쏘기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채우려고 인터넷 신문을 창간하고 운영하다 보니 시간이 흘러 벌써 올해 2024년 3월 7일 창립24주년을 맞았습니다. http://www.archerynews.net/news/view.asp?idx=2353 국궁신문 창립 24주년국궁신문 창립 24주년www.archerynews.net

활터에서 2024. 3. 7. 13:03

평양도성병풍 속 활쏘기

평양도성병풍(平壤都城屛風) 속 활쏘기 한마당 평양성 활쏘기 풍속을 유추할 수 있는 귀한 자료 - 조선19세기/종이에 채색, - 소장처: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좌측에 공금정(拱錦亭)과 덕유정(德遊亭)이 있으며, 덕유정 앞에 2명의 궁사가 활을 당기고 있다. 과녁은 3개이며 위로부터 二, 三, 四 숫자가 표기되어 순서로 세워져 있다. . http://www.archerynews.net/news/view.asp?idx=2350 평양도성병풍(平壤都城屛風) 속 활쏘기 한마당평양도성병풍(平壤都城屛風) 속 활쏘기 한마당www.archerynews.net

활터에서 2024. 2. 15. 19:11

동래 관덕정을 찾아서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⑯ 동래 관덕정 위치 동래 관덕정, 19세기 동래부 활쏘기문화의 중심지 「1797 팽나무」는 관덕정의 소중한 활터문화 유적지 . 부산광역시의 옛 고도인 동래부의 행정읍성은 동래성이며, 현재 마안산 아래 복천동, 수안동, 칠산동, 명륜동 등의 동래구에 위치한다. 동래성 일원에는 1724년 세워진 읍승정이 가장 앞선 사정(射亭)이며, 이어 우빈정이 추가로 세워져 운영되어 오던 중 두 개의 사정을 합쳐서 읍우정으로 다시 창정되었다. . http://www.archerynews.net/m/view.asp?idx=2349 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⑯ 동래 관덕정 위치부산지역 활쏘기 역사와 문화-⑯ 동래 관덕정 위치 동래 관덕정, 19세기 동래부 활쏘기문화의 중심지 「1797 팽나무..

활터에서 2024. 1. 23. 22: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18
다음
TISTORY
성촌리 심곡재_(聲村里 尋鵠齋)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